님, 보석류를 제외하고 인류가 만들어 낸 투명한 물질 중 가장 오래된 것은 무엇일까요? 바로 유리입니다. 로마에서 기원전 1세기에 '핸드블로잉(Hand Blowing)' 공법을 개발한 것을 시작으로, 1851년에는 세계 최초로 3,300개의 철골 기둥과 29만여 장의 판유리로 제작되어 화려한 빛의 산란이 특징인 영국 런던의 만국박람회장 '수정궁(Crystal Palace)'이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Adobe·Unsplash
빛의 산란은 물질이나 표면을 통과하는 빛이 여러 방향으로 분산되는 현상을 말하는데요. 유리, 크리스탈, 아크릴과 같은 투명한 소재를 가공하여 빛의 산란을 일으키는 것은 현대 CMF(Color, Material, Finish) 디자인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술 중 하나입니다. 5월의 히다(hïda) 뉴스레터의 키워드는 ‘빛의 산란(Scattering of light)’으로 정하고, 파트 1에서는 건축과 리빙, 프로덕트, 모빌리티 분야의 사례를 소개합니다.
Architecture
사면이 유리로 된 이상한 집?
ⓒWater glass house
앞서 언급했던 영국의 수정궁의 탄생 이래로 인류는 수많은 건축물을 통해 빛의 산란을 만들어 냈습니다. 일본의 건축가 ‘구마 겐고(Kuma Kengo)’가 지은 ‘워터 글라스 하우스(Water Glass House)’는 모든 건축용 소재가 유리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특징이에요. 건축물 아래는 물이 흐르는데, 유리와 물이 서로 빛의 산란을 일으켜 마치 외계 행성에 와 있는 듯한 착각을 만듭니다.
ⓒ30 St. Mary Axe
영국 런던의 오피스 타워 ‘30 세인트 메리 엑스(30 St. Mary Axe)’는 오이 피클을 뜻하는 ‘거킨(Gherkin)’ 타워라는 별명이 붙었는데요. 사선의 철골 기둥과 다이아몬드 형태의 이중유리 5,500장을 사용해 풍부한 자연 채광이 사무실 내부로 들어오므로 주간에는 별도로 조명을 이용하지 않는다고 해요.
팬데믹의 시기를 지나 실내에 머무르는 시간이 많아진 현대인들에게 ‘조명’의 가치는 더욱 특별해지고 있는데요. 다채로운 공간의 분위기 연출을 돕는 조명 디자인들을 소개합니다. 체코 크리스탈 조명 브랜드 ‘프레시오사(Preciosa)’는 크리스탈 내외부에 독특한 패턴을 표현하거나, 투명도와 광택을 조절하여 고객이 원하는 분위기를 자유자재로 구현해 주목받고 있습니다.
ⓒThe conran shop
ⓒSLAMP
영국 프리미엄 라이프스타일 편집숍 ‘더 콘란샵(The Conran Shop)’에서 선보이는 유럽 조명들은 투명한 아크릴 소재에 인쇄 등으로 특별한 패턴을 적용해 빛을 산란시켜 환상적인 분위기를 연출합니다. 이탈리아의 조명 브랜드 ‘슬램프(SLAMP)’의 ‘라 벨 에투알(La Belle Etoile)’은 폴리머 소재 Cristalflex®와 전용 자석을 사용해 수작업으로 제작됐는데요. 유연하고 섬세한 소재의 특성을 살린 패턴들이 눈길을 사로잡아요. 블랙 폴리머 소재가 조명으로 사용되는 경우는 드문데, 슬램프만의 독창성을 보여줍니다.
최근 출시된 BMW 전기차 ‘아이세븐(i7)’ 내부에는 정교한 크리스탈 소재의 디자인이 적용되어 주목받았어요. 크리스탈 소재 후면 LED에 의해 빛의 확산과 산란이 이루어지는데, 단순한 라이팅 컬러가 아니라 2가지 색이 그라데이션되는 효과가 놀라움을 자아냅니다. 또한 썬루프의 글라스에 적용된 'PDLC(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Film'에 의해 점멸되는 특별한 패턴도 쉽게 볼 수 없는 CMF 영감입니다.
ⓒgettyimagesbank
물질의 색소가 아닌 물리적인 구조에 의해 빛의 반사가 발생하여 다양한 색상으로 발색하는 컬러를 ‘구조색(Structural Color)’이라 부릅니다. 주로 공작새나 모포나비의 날개 등 자연에서 많이 볼 수 있어요.
ⓒintops
이러한 구조색을 색소로 표현하는 코팅 솔루션을 ‘인탑스(intops)’에서 보유하고 있습니다. 히다 CMF-라이브러리에 전시되어 있는 샘플 등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도료 안에 포함된 피그먼트가 구조색 효과를 구현하는데, 빛의 산란을 일으켜 독특한 분위기를 연출합니다. 이 공법은 주로 고가의 자동차 외장재에 적용된 바 있고, 다양한 전자기기에도 사용 중입니다.